스트림 (2) 썸네일형 리스트형 C# DB 관련 정리 (C# 문법 총 정리) Connection 객체 - 데이터 소스와의 물리적인 연결 - 객체 속성은 데이터 공급자, 연결하고자 하는 데이터 소스, 연결 문자열로 구성 - 객체 메소드는 연결의 Open 및 Close, 데이터베이스 변경 및 트랜잭션을 관리 - 데이터공급자만 다를뿐 객체생성방법이나 속성, 메소드 이용방법은 같다. - 주요속성 * ConnectionString : 연결 문자열을 지정하거나 받음 * ConnectionTimeout : Timeout을 받음(기본 15초) * DataBase : 연결한 데이터베이스 이름 * DataSource OleDb : 데이타베이스 소스의 위치와 파일명 SQL : 연결할 SQL 서버 인스턴스 이름 * Provider : OLE DB 공급자 이름 * ServerVersion : 데이터베이.. (Part04. C언어의 깊은 이해) Chapter 21. 문자와 문자열 관련 함수 21-1 스트림과 데이터의 이동 이번 Chapter는 단순히 몇 개의 함수 정도가 아니라 데이터의 이동경로를 의미하는 '스트림',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입출력'에 대한 개념적 이해다.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뜻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안으로 데이터가 흘러 들어오는 것이 입력이고, 프로그램 밖으로 데이터가 흘러 나가는 것이 출력이다. 가장대표적인 입력장치로는 키보드가 있고, 파일도 입력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대표적인 출력장치는 모니터가 있으며, 파일 역시 출력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스트림은 데이터의 이동수단이 된다. 프로그램상에서 모니터로 문자열을 출력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pritf와 scanf의 함수로 데이터를 입출력 할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