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정리/Hello Coding 프로그래밍

Hello Coding 개념부터 처음 배우는 프로그래밍 (Chapter 09 10)

190730 2019. 8. 3. 18:37

for : ~하는 동안 : 몇 번 반복할지 알고 있는 반복문에 사용

whil문을 사용하는 코드라면 모두 for문으로 표현이 가능하고, for문을 사용하는 코드는 모두 while문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보통 반복해야 하는 횟수가 정해진 코드는 for문을, 그렇지 않은 코드는 while문을 쓴다.

 

for(1초기화 코드; 2반복 조건식; 4증감문)            1 초기화 코드는 이 반복문이 실행되기 전에 딱 한 번만 실행됨.

{                                                                2 반복 조건식은 조건이 참이면 3을 실행 거짓이면 반복문 종료.

     3반복할 코드                                           4 증감문은 3 반복할 코드를 실행한 뒤, 즉 한 번의 반복문 회차가  

}                                                                   끝난 뒤에 실행 한다.

 

index++       index = index + 1 과 동일한 역할

 

for (int passcodeInedex = 0; passcodeIndex < passcodeLength; passcodeIndex++)

 

 

int passcodeIndex = 0;

while(passcodeIndex < passcodeLength)

{

   passcodeIndex = passcodeIndex + 1;

}

 

while문과 하는 일은 다르지 않은데 왜 굳이 for문을 사용하는 이유는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읽기 편하기 때문. for문 딱 한 줄만 읽어도 이 반복문이 총 먗 반 실행될지를 알 수 있음. 그리고 반복문과 관련된 코드를 한 줄에 모아 놔서 나중에 반복문을 수정할 때도 편리함.

 

이중for문 반복문 안에 반복문을 넣음.

프로그래머들은 for문을 이중, 삼중으로 구성할 때는 i 다음으로 j나 k를 초기화 코드에서 변수 이름으로 사용한다.

이 이유는 프로그래밍의 관습과 같은 것. 포트란 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부터 시작된 관습. i ~ n 까지 사용하고 index의 첫 두글자를 따온 것임.

다른 곳에서는 의미를 정확히 알리는 변수 이름을 사용하도록 하자.

 

이중 fir문은 구구단과 같이 표 형태의 2차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사진들도 너비와 높이가 있는2D 데이터다. 이렇게 이미즈를 처리할 때에도 이중 for문을 사용한다.

 

결과는 같지만 이해하기 쉬운 코드로 잘 짜는 것이 훌륭한 프로그래머의 자질 중 하나이다.

 

클래스 간단히 말해서 함수를 모아둔 곳

 

Random random = new Random();

int number1 = random.Next(1, 7);

int number2 = random.Next(1, 7);

 

Next(1,7)    1 이상이고 7 미만인 숫자     1~6까지      Next(min,max)l min이상 max미만 랜덤숫자를 호출함.

 

중복된 숫자를 뽑으면 안될땐 for문 대신에 while

반복 횟수가 명확하게 정해졌을땐 for    몇 번 반복할지 명확하지 않으면 while문을 사용함.

 

이렇게 Hello Coding 책 한권을 전부 다 끝냈다.

프로그래밍 기초로 입문하기 좋은 책인거 같다. 어느 한 언어에 국한되지 않고 말 그대로 프로그래밍의 기초 문법과 같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