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 허브 레파지토리 생성하기
- 깃 허브 로그인 후 왼쪽 상단에 New 버튼 클릭하기.
- 붉은 박스의 내용 입력 후 아래의 Create repository 클릭
-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 repository 생성 완료, 빨간 상자의 버튼을 눌러 링크를 복사
Project 생성하기
-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 아무것도 없는 디렉터리를 git에 올릴 수 없으므로 테스트 클래스를 생성한다.
.gitignore 만들기
- IDE의 설정파일, 컴파일 캐시 등 올라가면 안되는 파일을 걸러주어 다른환경, 다른 OS에서도 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파일이다. 해당 내용에 기술된 파일들은 형상관리의 영향을 받지 않고 Remote Git Repo에도 올라가지 않는다.
- Eclipse에서 프로젝트 폴더에서 오른쪽 클릭 한 뒤, 'New → File' 순서로 들어간다.
- File name을 '.gitignore'로 설정하고 Finish를 누른다. → 파일 이름이 절대 변경되서는 안된다.
- 다음의 링크를 클릭하여 이동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 다음과 같이 필요사항들을 입력하고 생성시킨다.
- 해당 내용을 복사한 뒤에, 위에서 생성한 .gitignore 파일에 내용을 붙여넣기 한다.
Local Git Repository 생성
-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기존의 가이드를 따라하면, root 밑에 Project 디렉터리가 또 생기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다음의 과정을 따라하자.
- 다음 빨간박스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클릭하자
Initial Commit 하기
- 첫 커밋을 해보자
- Unstaged Changes에서 모든 파일을 추가해준다. 이때, .gitignore를 설정했으므로 해당 파일에서 제외하라고 한 것은 제외하고 추가된다. 이후, Commit Message를 자유롭게 설정한다.
Author, Commiter를 "(본인의 Github ID) <본인의 Github email>"로 설정한다.
Remote Git Repository 설정
- Local Git Repository와 Remote Git Repository를 연결해보겠다.
다음의 과정을 따라하자
- URI는 생성한 레파지토리 주소, User는 깃허브 아이디, Password는 개인 토큰을 넣어준다.
- 다음의 버튼을 클릭하면 아까 Commit한 내용이 Push 된다. 이후 깃허브에 접속해서 파일이 올라갔는지 확인해본다.
- 완료
'그냥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 기본 포트 및 DNS의 종류 (1) | 2022.11.24 |
---|